이런 때에 감사 하십시오.(에베소서 5:20)
신앙생활을 하면서 이런 저런 일들이 많이 있지만, 항상 “…을 하고 싶다”라고 생각을 함에도 불구하고 쉽게 넘어지는 것 중의 하나가 감사가 아닌가?하는 생각을 합니다. 여러분들은 여러분의 생각에 내 인생 최고의 감사조건이 있다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이럴 때, 한국의 남자 성도들은 옆에 앉아 있는 아내를 바라보면서 살짝 의미 있는 미소를 지어 주시면, 아마 다음 한 주간의 반찬이 굉장히 좋아지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해 보는데요.
정말 여러분이 여러분의 삶 속에서 가장 감사했던 순간은 언제입니까? 어떤 이유로 어떤 순간에 우리는 감사하기도 하고 원망 하기도합니다. 그러나 성경이 우리에게 말씀 하고 있는 것은, 두가지 감사입니다. 한가지는 “범사”이고 다른 한 가지는 “항상”입니다.
엡 5:20
범사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항상 아버지 하나님께 감사하며
always giving thanks to God the Father for everything, in the name of our Lord Jesus Christ.
그러나 우리가 솔직해 진다면 우리는 “항상 감사”도 “범사 감사”도 하기 어려운 심성을 가지고 살아감을 인정 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이럴 때, 우리는 어떨게 감사 해야 할까?하는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저는 “감사”를 정말 좋아합니다. 그런데 그 감사가 제겐 정말 쉽지 않습니니다. 제가 경험한 바에 의하면 감사를 하겠다고 하면 할수록 제게 주어지는 현실은 감사보다는 원망 혹은 불평을 할 상황이 되어지기 때문입니다.
언젠가는 신년 가정예배를 드리면서 지난 한 해동안 주신 축복에 감사 하면서 새해에는 더욱 많은 감사를 드리는 한 해가 되기를 바란다고 예배를 한 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제 기억에는 그 해가 끝날 때까지 불평과 원망의 한 해를 보냈던 기억이 있습니다. 어쩌면 이것이 우리 인간의 한계일 수 있습니다. 감사는 조건이 아닙니다. 감사는 하나님의 은혜를 헤아림 속에 가능 한 것입니다. 저는 우리 모두가 그런 감사를 드리는 하나님의 자녀가 되기를 소원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성경에서 이런 때, 어쩌면 감사 할 수 없는 그런 때, 하나님에게 감사한 믿음의 선배들을 찾아 그들은 무엇으로 감사 했는지를 살펴 보려고 합니다.
첫째로, 하나님이 “함께 하심”을 알았을 때 감사 했습니다.
인류 역사상 최고의 지혜자를 솔로몬이라고 한다면 아마 최고의 꾀돌이는 “야곱”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적어도 꾀로 형의 장자권을 빼앗았고, 아버지의 축복을 속임수로 빼앗았던 사람입니다. 그로인해 그는 외삼촌의 집으로 도망을 합니다. 그러다가 어누 피곤해서 잠이 들었는데 이 때, 그는 꿈을 꿉니다. 그리고 그가 이렇게 외칩니다.
창 28:16
야곱이 잠이 깨어 이르되 여호와께서 과연 여기 계시거늘 내가 알지 못하였도다
When Jacob awoke from his sleep, he thought, "Surely the LORD is in this place, and I was not aware of it."
야곱은 피곤해서 잠들었던 그 곳에서 하나님을 경험합니다. 그리고 고백합니다. “하나님이 이곳에 계시다” 저는 여기서 이런 질문을 저를 포함한 우리 모두에게 하고 싶습니다. “하나님이 나와 함게 하신다고 하는 것이 여러분에게 감사의 제목이 됩니까?”
후에 예수님이 세상에 오실 때, 천사를 통해 마리아와 우리에게 주신 말씀,
마 1:21-23
아들을 낳으리니 이름을 예수라 하라 이는 그가 자기 백성을 그들의 죄에서 구원할 자이심이라 하니라 이 모든 일이 된 것은 주께서 선지자로 하신 말씀을 이루려 하심이니 이르시되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의 이름은 임마누엘이라 하리라 하셨으니 이를 번역한즉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시다 함이라
She will give birth to a son, and you are to give him the name Jesus, because he will save his people from their sins." All this took place to fulfill what the Lord had said through the prophet: "The virgin will be with child and will give birth to a son, and they will call him Immanuel"--which means, "God with us."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예수님이 처음 오실 때도 함께 하심을 약속 해 주셨는데, 그 마지막 순간에 무엇이라 말씀 하셨습니까?
마 28:20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볼지어다 내가 세상 끝날까지 너희와 항상 함께 있으리라 하시니라
and teaching them to obey everything I have commanded you. And surely I am with you always, to the very end of the age."
함께 하시겠다는 말로 세상에 오신 예수님, 그리고 함께 하시겠다고 약속 하시며 세상을 떠나신 예수님. 이것이 저와 여러분에게 감사의조건이 되는가? 아닌가?하는 질문을 해 보자는 말씀입니다.
초대 기독교의 교부였던 “폴리캅”의 이야기는 우리가 들어서 잘 알고 있습니다. 그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는 이유로 “화형”을 당하게 되었습니다. 이 때, 병사가 와서 폴리캅에게 말 하기를, “만약 당신이 지금 예수 그리스도를 모른다고 하면 당신은 살 수 있습니다.”라고 했다고 합니다. 이 때, 폴리캅은 대답하기를 “하나님이 지금까지 나를 모른다고 하신 적이 없는데 어떻게 내가 하나님을 이제 모른다고 하겠습니까? 나를 죽이십시오.”
하나님이 함께 하시는 자만이 가질 수 있는 담대함이 아닐까요? 이제 스스로에게 다시 물으시기 바랍니다. 나는 하나님이 함께 하심 만으로 감사 할 수 있는가?
복음 성가중에 “성령이 오셨네”라는 찬양이 있습니다. 그 찬양의 가사 중에 이런 부분이 있습니다.
허무한 시절 지날때 깊은 한숨 내쉴때 그런 풍경보시며 탄식하는 분 있네
고아같이 너희를 버려두지 않으리 내가 너희와 영원히 함께 하리라
하나님은 우리를 고아 같이 버려두지 않으시는 분입니다. 세상이 변해서 부모가 자식을 버리기도 하는 세상이 되었지만, 하나님은 우리를 버려두지 않으시는 분이라는 말씀입니다. 우리를 지키시는 하나님, 우리를 돌아 보시는 하나님, 우리와 함께 하시는 하나님. 그 하나님이 여러분에게 정말 힘이 되십니까?
제가 좋아하는 이사야 43장의 말씀이 저와 여러분 모두에게 다시 힘이 되기를 소원합니다.
사 43:2-3a
네가 물 가운데로 지날 때에 내가 너와 함께 할 것이라 강을 건널 때에 물이 너를 침몰하지 못할 것이며 네가 불 가운데로 지날 때에 타지도 아니할 것이요 불꽃이 너를 사르지도 못하리니 대저 나는 여호와 네 하나님이요 이스라엘의 거룩한 이요 네 구원자임이라 내가 애굽을 너의 속량물로, 구스와 스바를 너를 대신하여 주었노라
When you pass through the waters, I will be with you; and when you pass through the rivers, they will not sweep over you. When you walk through the fire, you will not be burned; the flames will not set you ablaze. For I am the LORD, your God, the Holy One of Israel, your Savior; I give Egypt for your ransom, Cush and Seba in your stead.
둘째로, 생활 속에 “불편함이 있을 때”감사 했습니다.
사도바울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힘든 삶을 살았던 것 같습니다. 실제로 그가 살았을 때 당했던 고통을 이렇게 고백하고 있습니다.
고후 1:8
형제들아 우리가 아시아에서 당한 환난을 너희가 모르기를 원하지 아니하노니 힘에 겹도록 심한 고난을 당하여 살 소망까지 끊어지고
We do not want you to be uninformed, brothers, about the hardships we suffered in the province of Asia. We were under great pressure, far beyond our ability to endure, so that we despaired even of life.
고후 11:23-27
그들이 그리스도의 일꾼이냐 정신 없는 말을 하거니와 나는 더욱 그러하도다 내가 수고를 넘치도록 하고 옥에 갇히기도 더 많이 하고 매도 수없이 맞고 여러 번 죽을 뻔하였으니 유대인들에게 사십에서 하나 감한 매를 다섯 번 맞았으며 세 번 태장으로 맞고 한 번 돌로 맞고 세 번 파선하고 일 주야를 깊은 바다에서 지냈으며 여러 번 여행하면서 강의 위험과 강도의 위험과 동족의 위험과 이방인의 위험과 시내의 위험과 광야의 위험과 바다의 위험과 거짓 형제 중의 위험을 당하고 또 수고하며 애쓰고 여러 번 자지 못하고 주리며 목마르고 여러 번 굶고 춥고 헐벗었노라
Are they servants of Christ? (I am out of my mind to talk like this.) I am more. I have worked much harder, been in prison more frequently, been flogged more severely, and been exposed to death again and again. Five times I received from the Jews the forty lashes minus one. Three times I was beaten with rods, once I was stoned, three times I was shipwrecked, I spent a night and a day in the open sea, I have been constantly on the move. I have been in danger from rivers, in danger from bandits, in danger from my own countrymen, in danger from Gentiles; in danger in the city, in danger in the country, in danger at sea; and in danger from false brothers. I have labored and toiled and have often gone without sleep; I have known hunger and thirst and have often gone without food; I have been cold and naked.
이런 삶을 살아가는 바울이 우리가 생각하는 혹은 우리가 상상하는 행복의 모습으로 살았을 것 같습니까? 아니었을 것입니다. 나름대로 그 역시 쉽지 않은 삶을 사았을 것입니다. 그의 고백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빌 1:23
내가 그 둘 사이에 끼었으니 차라리 세상을 떠나서 그리스도와 함께 있는 것이 훨씬 더 좋은 일이라 그렇게 하고 싶으나
I am torn between the two: I desire to depart and be with Christ, which is better by far;
이것이 무엇을 뜻합니까? 차라리 죽는 것이 낫겠다고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 힘든 중에 그는 하나님 앞에 감사하며 살았습니다. 그래서 골로새서에서 그는 이렇게 감사를 말합니다.
골 3:17
또 무엇을 하든지 말에나 일에나 다 주 예수의 이름으로 하고 그를 힘입어 하나님 아버지께 감사하라
And whatever you do, whether in word or deed, do it all in the name of the Lord Jesus, giving thanks to God the Father through him.
감사할 수 있는 조건으로 감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힘 주심으로 감사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오늘 우리가 감사하는 방법과는 다른 방법을 이야기 하고 있는 듯합니다. 여기서 우리가 분명하게 생각 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리스도인의 감사, 성도의 감사는 어려움 중에서도 감사여야 합니다. 그리고 성경은 그리스도인은 세상과 다른 그런 감사를 드릴 수 있는 힘이 있어야 함을 말합니다.
사실 성경에 이런 어려움 혹은 저런 어려움이 있어도, 혹은 있을 때 감사 해야 한다. 이런 말씀은 없습니다. 하지만 성경을 보면서 우리가 적용할 수 있는 말씀이 있습니다.
눅 6:32-33
너희가 만일 너희를 사랑하는 자만을 사랑하면 칭찬 받을 것이 무엇이냐 죄인들도 사랑하는 자는 사랑하느니라 너희가 만일 선대하는 자만을 선대하면 칭찬 받을 것이 무엇이냐 죄인들도 이렇게 하느니라
"If you love those who love you, what credit is that to you? Even 'sinners' love those who love them. And if you do good to those who are good to you, what credit is that to you? Even 'sinners' do that.
이 말씀을 적용 해 보시기 바랍니다. 단순히 사랑하는 자, 선대하는 자로 적용하지 말고, 이렇게 적용 해 보시기 바랍니다.
“너희가 만일 너희에게 좋은 일이 있을 때만 감사한다면 칭찬 받을 것이 무엇이냐? 죄인들도 이같이 하느니라. 너희가 만일 행복한 일이 있을 때만 감사하면 칭찬 받을 것이 무엇이냐? 최인들도 이같이 하느니라!”
중요한 것은 이런 감사가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에서의 사도 바울의 고백을 기억 하십니까?
빌 4:12
나는 비천에 처할 줄도 알고 풍부에 처할 줄도 알아 모든 일 곧 배부름과 배고픔과 풍부와 궁핍에도 처할 줄 아는 일체의 비결을 배웠노라
I know what it is to be in need, and I know what it is to have plenty. I have learned the secret of being content in any and every situation, whether well fed or hungry, whether living in plenty or in want.
성도들이 하나님 앞에 드리는 감사는 좋은 일이 있을 때만 감사하는 것이 아닙니다. 힘든 일이 있음에도 감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쉽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 같은 어려움 속에서 드리는 감사는 사도 바울의 말씀에 의하면 배워서 해야 합니다. 저절로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서 이런 감사는 우리가 천국에 대한 분명한 소망이 있을 때 가능한 것입니다.
짐심으로 여러분들을 축복하며 선포합니다. 아무리 힘든 일이 여러분의 앞에 있다고 해도 감사하며 하나님 앞에 나아가는 하나님의 자녀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마지막으로, 성도는 당연히 “감사 해야 할 때” 감사해야 합니다.
어쩌면 너무도 당연한 것이지만 우리가 우리의 삶에서 꿋꿋하게 믿음을 지킴으로 순간 순간을 잘 이겨낼 때, 혹은 우리의 간구가 응답 되었을 때 당연히 우리는 감사 해야합니다. 그런데 우리의 죄성은 이 당연한 감사를 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성경 누가복음 17장에 보면 열 문중병자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문둥병자들이 예수님에게 달려와서 고쳐달라고 간구합니다. 이 때, 예수님은 저들에게 제사장에게 가서 나은 모습을 보여주라고 하십니다. 이 때, 문둥병자들이 제사장을 향해 달려가다가 나음을 입었습니다. 이는 분명 간구도 있었지만, 그들이 나음을 입은 것으로 봐선 믿음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들이 나음을 입은 후의 상황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눅 17:17-18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열 사람이 다 깨끗함을 받지 아니하였느냐 그 아홉은 어디 있느냐 이 이방인 외에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러 돌아온 자가 없느냐 하시고
Jesus asked, "Were not all ten cleansed? Where are the other nine? Was no one found to return and give praise to God except this foreigner?"
고침을 받은 사람은 열명인데 돌아와서 감사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 사람은 한 사람이었다고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추수감사절의 유래를 청교도들이 미국에 들어온 이후에 생겨난 행사라고 생각을 합니다. 물론 그것이 기원이 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추수감사절이라고 하면 세계 어느 나라에 가더라도 나름대로의 역사 속에서의 추수감사절은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청교도들의 추수감사절에서 그 의미를 찾는 이유는 당시의 상황을 찾아 보면 쉽게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사실 청교도들이 미국에 들어와서 정착 할 때, 본토의 인디언들이 많이 도와 주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미 그 1620년 겨울, 12월 11일에 함께 미국 메사추세스의 플리머스에 도착 했던 102명 중에 북쪽 지역의 추위를 견디지 못하고 44명이 죽음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1621년 남은 사람들이 농사를 지어 추수한 것으로 추수감사절을 지킨 것이 추수감사절의 유래라고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서중석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교수에 의하면 청교도들은 1621년에 큰 수확을 거두지 못했다고 합니다. 청교도들은 흉년과 식량난으로 고생했으며 미국에 올 때 배를 빌리느라 진 빚이 이자가 불어나서 돈에 쪼들리는 경제난에도 시달렸다는 것입니다. 청교도들은 아무것도 없는 맨주먹이었기 때문에 먹을 것이 부족해서 고생했으며, 완두콩 농사와 보리 농사도 망쳤습니다. 옥수수도 이십 에이커의 밭에서 난 것이 전부였고, 더구나 전염병까지 유행해서 건강도 해쳤으며, 날씨도 좋지 않았습니다. 잉글랜드에서 온 이민인 청교도들로부터 자신들의 전통적인 종교와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무기를 든 인디언들의 항쟁과도 싸워야 했다. 그럼에도 청교도들이 하나님이 자신들을 돌보아줄 것으로 믿고 감사를 드린 일에서 유래한 명절이 추수감사절이라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자신들이 신앙을 지킬 수 있도록 돌보아 주셨다고 믿는 믿음으로 드린 감사의 절기가 추수감사주일인 것입니다. 그럼 여기서 우리가 당연한 감사를 드리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지 함께 생각 해 보기를 원합니다.
· 마음으로 감사하십시오.
골 3:16
그리스도의 말씀이 너희 속에 풍성히 거하여 모든 지혜로 피차 가르치며 권면하고 시와 찬송과 신령한 노래를 부르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하나님을 찬양하고
Let the word of Christ dwell in you richly as you teach and admonish one another with all wisdom, and as you sing psalms, hymns and spiritual songs with gratitude in your hearts to God.
· 말로 감사하십시오.
엡 5:4
누추함과 어리석은 말이나 희롱의 말이 마땅치 아니하니 오히려 감사하는 말을 하라
Nor should there be obscenity, foolish talk or coarse joking, which are out of place, but rather thanksgiving.
· 헌신으로 감사하십시오.
고후 9:11-12
너희가 모든 일에 넉넉하여 너그럽게 연보를 함은 그들이 우리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감사하게 하는 것이라 이 봉사의 직무가 성도들의 부족한 것을 보충할 뿐 아니라 사람들이 하나님께 드리는 많은 감사로 말미암아 넘쳤느니라
You will be made rich in every way so that you can be generous on every occasion, and through us your generosity will result in thanksgiving to God. This service that you perform is not only supplying the needs of God's people but is also overflowing in many expressions of thanks to God.
더 이상 긴 말씀 드리지 않겠습니다.
사랑하는 오이코스가족 여러분!
지금 이순간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 하십니다. 때라서 우리가 하나님 앞에 감사 해야 하는 때는 바로 지금입니다. 하나님이 함께 하심에 감사하는 하나님의 자녀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
우리가 살다보면 힘들고 어려운 때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런 중에도 감사할 수 있는 하나님의 자녀 되시기를 축복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알아야 할 것은 하나님이 함께 하시기에 우리는 감사 할 수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감사해야 할 때, 감사를 잊으면 안됩니다. 감사 해아 할 때 감사하는 성도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때 맞춰서 감사 드리기 위해서는 먼저 마음으로 감사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입으로 감사 해야합니다. 그리고 말로만의 헌신이 되지 않도록 우리의 노력을 다 해야 할 것입니다.
바라기는 우리 오이코스 가족들은 하나님께 드리는 감사의 때를 놓치지 않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부탁 드립니다. 그래서 우리의 감사를 통해 하나님께는 영광을 돌리고 우리 자신에게는 더욱 크고 귀한 축복을 경험 할 수 있게 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복합니다.